[주식] 저가 매수 나선 개미들, 삼성전자·NAVER 줍줍
최근 미래에셋증권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한미글로벌(053690)로 나타났다.
미래나노텍(095500), 비덴트(121800),
포스코케미칼(003670), NAVER(035420),
삼성전자(005930)도 매수 상위권에 속했다.

미래에셋 엠클럽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한미글로벌이었다.
한미글로벌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친환경 미래 신도시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수혜주로 거론되며
최근 연일 주가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미글로벌은 국내 1위 건설사업관리 기업으로
지난해 네옴시티 프로젝트 중 하나인
‘네옴 더라인’ 특별 총괄관리용역을 수주했다.
네옴시티는 총 사업비 650조 원 대규모 프로젝트.
이에 한미글로벌은 관련 대규모 수주를
실제로 확보할 수 있는
국내 몇 없는 중소형 업체 중 하나라는 분석이다.
한미글로벌 하이테크 사업부 성장성도 주목받고 있다.
허선재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글로벌 PM 매출액의 30%를 차지하는
하이테크 사업부의 수주잔고는
연평균 30% 이상 고정상하고 있으며
최소 몇 년간 이러한 추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매수 2위는 미래나노텍이다.
미래나노텍은 디스플레이용 광학필름 생산업체다.
최근 자사주를 활용, 교환사채(EB)를 발행하면서
현금 유동성 확보에 나섰다.
올해 초 인수한 배터리 소재업체
미래첨단소재(옛 제앤케이)의
수산화리튬 제조공장 투자에 자금을 투입하기 위함.
이번 투자를 발판으로
주력 사업의 무게추를 '광학필름'에서
'2차전지 소재사업'으로 이동시키는 게 회사 측 계획.
매수 3위는 비덴트다.
비덴트는 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의 대주주)
지분 34.22%를 보유한 단일 최대 주주다.
검찰이 11일 빗썸 관계사들의 횡령 혐의를 포착해
강제수사에 착수하면서 주가는 급락세다.
비덴트의 최대 주주는
인바이오젠, 인바이오젠 최대 주주는 버킷스튜디오.
인바이오젠과 버킷스튜디오의
대표이사는 강 씨의 동생 강지연 씨다.
버킷스튜디오 지분 20%를 가진
'이니셜1호투자'의 최대주주
'이니셜'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박민영 씨의 언니가
인바이오젠 사외이사로 등재된 사실이 밝혀졌다.
빗썸홀딩스 사내이사를 겸하는 강지연 씨는
2020년 230억원으로
비덴트, 인바이오젠, 버킷스튜디오 등
3개 기업을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비덴트와 버킷스튜디오는 코스닥시장에,
인바이오젠은 유가증권시장에 각각 상장돼있다.
매수 4위는 포스코케미칼.
포스코케미칼은 3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KB증권은 포스코케미칼이
3분기에 매출액 8639억원, 영업이익 560억원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71%, 78% 증가한 규모.
이창민 KB증권 연구원은
"양극재는 판가 전가로
긍정적인 ASP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고객사 수요 증가가 출하량 확대로 이어지면서
매출이 전 분기 대비 23% 확대될 전망"이라고 했다.
매수 5위는 NAVER다.
52주 신저가를 연일 경신하면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매수 6위는 삼성전자다.
저가 매수세가 몰렸다는 분석이다.
증권가에서도 삼성전자의 실적 감소세가
내년까지 이어져 눈높이를 낮출 필요는 있지만,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분할 매수해야 한다는 조언이 이어지고 있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 1분기 미국 정책금리 인상이 종료된다면
경기선행지표들의 반등과 이와 동행하는
삼성전자 밸류에이션 배수 회복할 전망"이라며
"만약 내년 연말께 삼성전자의 PBR 배수가
역사적 평균치인 1.5 배에 도달한다면,
이것 만으로도 주가는
전저점(1.07 배) 대비 40% 가량 상승하게 된다.
삼성전자 이익이 적자 전환하지 않는 한,
내년 BPS는 올해 대비 상승하므로
내년 연말 주가는 현재 주가 대비 최소 50%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계산이 가능하다"고 했다.
송 연구원은 그러나
"최악의 경우 주가가 역사적 최저점 배수인
0.94배(4만6100원)까지 하락한다 해도 주가의
추가 다운사이드는 전 저점 대비 12% 수준"이며
"즉 현재 삼성전자 주가는
향후 업사이드 포텐셜(잠재력)이
다운사이드 리스크를 크게 상회하는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주가 조정 시마다
저점 분할 매수하는 전략을 권고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지난 7일 삼성전자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 3분기 매출액 76조원,
영업이익 10조8000억원 실적을 달성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3%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1.73% 줄었다.
영업이익 기준 증권사 컨센서스(최근 3개월 추정치 평균)
11조8738억원을 약 9% 가량 밑도는 수준이다.
이날 매도 1위는 한미글로벌이다.
금양(001570), SK하이닉스(000660),
SK이노베이션(096770) 등 매도세가 몰렸다.
전 거래일 매수 1위는 한미글로벌였다.
현대중공업(329180), 삼성전자 등도 매수세가 컸다.
같은 날 매도 1위도 한미글로벌이였으며
이 외 삼성전자, 미래나노텍에도 매도가 이어졌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사 고객 중에서
지난 1개월간 수익률 상위 1% 투자자들의
매매 종목을 집계해 실시간·전일·최근 5일 기준으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상에서 공개하고 있다.
이 통계 데이터는 미래에셋증권의 의견과
무관한 단순 정보 안내이며,
각각의 투자자 개인에게 맞는 투자
또는 수익 달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또 테마주 관련 종목은
이상 급등락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신라젠, 2년 5개월 거래정지 마침표 "경영정상화 신호탄" (4) | 2022.10.12 |
---|---|
'횡단보도 일시정지' 계도기간 끝, 제주서 2시간 만에 11건 적발 (3) | 2022.10.12 |
'세계 철새의 날’에 폭죽 10만 발, 한강의 새들은 괜찮았을까? (4) | 2022.10.10 |
제576돌 비 오는 한글날, 태극기 다는 법 (6) | 2022.10.09 |
2022년 9월 국산차 판매 순위, 토레스가 그랜저보다 많이 팔렸다 (5) | 2022.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