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낚시로 잡은 민물고기, 회로 먹으면 위험할 수도...
본문 바로가기
일상

여름철 낚시로 잡은 민물고기, 회로 먹으면 위험할 수도...

by 야차82 2022. 7. 18.
728x90
반응형

여름철 낚시로 잡은 민물고기, 회로 먹으면 위험할 수도...


휴가철을 맞이하여 강이나 계곡으로
민물고기 낚시를 떠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낚시 후 직접 잡은 물고기로 찜, 구이, 매운탕 등
여러 요리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

이때 민물고기는 반드시 익혀 먹어야 한다.

민물고기를 회로 먹으면
민물에 사는 ‘간흡충’이 체내로 들어올 수 있다.
죽지 않은 간흡충이 담도로 이동할 경우
담도·담낭암으로 발전할 위험도 있다.


간흡충은 쓸개즙이 내려오는 통로인
담관에 기생하면서 여러 가지 병을 유발하는 기생충.

감염 후 3~4주 잠복기를 거쳐 담관염 등이 발생하고,
일시적으로 발열·복통이 생긴다. 감염기간이 길어지면
소화불량, 황달, 식욕부진, 설사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

특별한 증상이 없어 감염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간흡충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확인되는
장내 기생충이기도 하다.
(질병관리청 2021년 유행지역 주민 장내 기생충 감염조사)


간흡충은 우리 몸에 30년 이상 기생할 수 있다.
간흡충이 오래 담도 벽에 붙어 만성 염증을 일으키면
담도·담낭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간흡충을 담도암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담도·담낭암은 5년 생존율이 30% 미만인 암으로,
조기 발견이 어려워 생존율이 낮은 암에 속한다.
황달, 소화불량, 체중감소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
이미 수술이 어려울 정도로 암이 진행된 경우가 많다.
간흡충 감염 외에 담관낭종, 담관기형 등도
담도·담낭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간흡충 감염 예방은 담도암을 예방하는 방법이기도 하다.
민물고기는 간흡충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회로 먹지 말고 익혀 먹어야 한다.

조리 과정에서 도마, 칼 등 조리 기구가
간흡충 유충에 교차 오염될 수 있으므로,
요리할 때 사용한 주방용품 또한
끓는 물에 10초 이상 가열 후 재사용하도록 한다.

민물고기를 먹은 뒤 감염이 의심된다면
복부초음파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간흡충 감염이 확인되면 약으로 치료할 수 있다.

한편, 생간 요리를 먹은 뒤 몸살 증상이 생겼다면
‘개회충’ 감염을 의심해야 한다. 개회충 역시
간흡충 못지않게 많이 감염되는 기생충으로,
개회충이 혈액을 통해 장기로 이동하면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눈이나 뇌로 이동할 경우,
눈이 침침해지거나 눈에 부유물이 생기기도 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