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확진 후 격리 여부, 정부 이번 주 결정
본문 바로가기
일상

코로나 확진 후 격리 여부, 정부 이번 주 결정

by 야차82 2022. 6. 13.
728x90
반응형

코로나 확진 후 격리 여부, 정부 이번 주 결정


정부가 오는 6월 17일,
코로나19(COVID-19) 확진자 격리 의무를
해제할지 결정할 예정이다.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의무 해제 여부 발표 예정


결과는 6월 20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여론은 찬반 양쪽이 팽팽한 상황.

6월 13일 기준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일 0시 기준,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7382명 집계,
국내 누적 확진자 수는 1822만 5460명이다.

확진자 감소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오는 6월 1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통해
확진자 격리 의무 해제 여부를 결정할 예정.

일각에서는 유행이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상황이라는 점에 무게를 둔다.
3300만여 명이 백신을 접종하고
누적 확진자가 1800만 명을 넘어서면서
백신, 감염 통해 면역을 갖게 된 국민이 다수라
추후 유행 증가 가능성이 낮다는 설명이다.

이달 내 의료역량을 고위험군에 집중하는
'고위험군 패스트트랙'을 도입 계획에서
모든 경증·무증상 확진자가
격리 의무를 가질 필요는 없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이달 고위험군 패스트트랙 도입으로
재택치료 최소화, 대면진료를 늘리면서
고위험군은 하루 내 검사부터
치료제 처방까지 받게 할 계획이다.

해외 국가들의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현황


다만, 여름철을 앞두고 에어컨 가동으로
재유행 발생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어
확진자 격리 의무 해제가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있다.
격리 의무를 없애는 것은 후에는
되돌리기 어렵다는 점에서
일단 재유행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
오미크론 세부 변이 등 계속해서
변이가 발생하는 것도 위험 요인이다.

아직 시기상조라는 전문가들은
격리 의무가 해제될 경우
겨우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재유행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오미크론 세부 변이 등
계속 변이가 나타나고 있는 것도 불안 요소.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지난 6월 9일 기자간담회에서
격리 의무 해제와 관련하여
"격리 의무를 해제하게 되면
아무래도 유행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면서
"사회가 환자 증가로 그로 인한 피해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
합의가 필요하다"라고 했다.

유행 감소세는 유지,
신규 확진자 사흘째 1만 명 아래

국내 유행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 6월 12일 0시 기준,
신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7382명.
국내 누적 확진자 수는 1822만 5460명.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 6월 10일부터 사흘간 1만 명 아래다.

지난 6월 6일부터 최근 일주일간
확진자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5022명 → 6171명 → 1만 3357명 →
1만 2161명 → 9315명 → 8442명 →
7382명 순이다.
일주일 중 5일은
신규 확진자 수가 1만 명 아래에 그쳤고,
일평균 확진자 수는 8835명이다.

유행 감소세 유지, 신규 확진자 사흘째 1만 명 아래


이날 0시 기준 재원 중
위중증 환자는 3명 줄어 98명이다.
하루 사이 사망자는 20명이 추가됐다.
국내 누적 사망자는 2만 4371명이다.
누적 치명률은 0.13%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 발생 확진자는 7304명,
해외 유입 사례는 78명이다.

이 중 수도권 확진자는
서울 1159명, 인천 263명,
경기 1684명으로, 총 3106명이다.
국내 발생 중 수도권 비중은 42.5%다.
비수도권은 419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비수도권 확진자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산 417명 △대구 391명 △광주 188명
△대전 265명 △울산 294명 △세종 82명
△강원 357명 △충북 239명 △충남 282명
△전북 264명 △전남 279명 △경북 565명
△경남 436명 △제주 139명이다.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257명(17.2%)이다. 18세 이하는 1439명(19.7%)이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