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전세2 '부동산 폭락기'를 떠올리게 하는 불안한 신호들 '부동산 폭락기'를 떠올리게 하는 불안한 신호들 대출 잔액 기준 다중채무 비중 31.9% 전국 전셋집 전세가율 평균 90.9% 부동산 시장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금리 인상, 경기 침체 등의 영향으로 부동산 매수심리가 냉각되면서 집값 하락 신호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각종 경제지표를 근거로 외환위기(1998년)나 금융위기(2008년) 때처럼 하우스푸어가 등장하는 등 부동산 대폭락 시기가 다시 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내놓는다. 금융위기 당시보다 높은 가계부채 실제로 각종 경제지표는 불안한 상황이다. 8월 21일 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3%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8월 19일 원.. 2022. 8. 21. [부동산] 반복되는 전세사기, 사고사례 및 예방법 [부동산] 반복되는 전세사기, 사고사례 및 예방법 되풀이되는 전세사기, 뒷전으로 밀린 세입자 대항력 1277채 소유한 '빌라의 신'이 '전세가=매매가' 무갭투자로 청년과 신혼부부, 다가구 등의 전세금을 떼먹는 대형사고가 또 발생했다. 나쁜 집주인 공개법이 발의됐지만, 개인정보 보호에 막혀 서민들은 '깜깜이' 전세계약을 해야 한다. 되풀이되는 전세사기, 막을 방법이 없는 건가? 2020년 A 씨는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 59㎡를 23억원에 매수하겠다고 했다. 당시 시세 21억원이었지만, A 씨는 집주인 B 씨에게 시세보다 비싼 값을 사는 대신 B 씨에게 보증금 12억5000만원에 2년 간 전세로 거주해달라고 요구했다. B 씨는 이를 수용해 A 씨에게 집을 팔고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상.. 2022. 5. 26. 이전 1 다음